본문 바로가기

금융 〔 IB · M&A ·시사 〕/신용분석사 1부

01. 재무회계와 회계기준


1. 회계란 무엇인가?

[1]  주식회사

 

(1) 주식회사의 특징

      - 주식을 발행하여 자본을 조달한다.

      - 대규모 자본을 원활하게 조달한다.

      - 주주는 유한책임을 가진다.

      - 주식의 매매를 자유롭게 한다.

      -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으며 지분율만큼 의결권을 행사한다.

      - 법인격을 가진 독립된 실체이며 회사 명의로 자산취득, 채무부담, 계약체결 등을 한다.

 

(2) 주식회사의 종류

      - 상장기업 : 유가증권시장 상장회사, 코스닥시장 상장회사

      - 비상장기업

 

 

[2]  기업의 이해관계자(회계정보이용자)

 

(1) 외부정보 이용자

      주주, 투자자, 채권자, 정부 및 규제기관 등은 외부정보이용자에 해당된다.

 

(2) 내부정보이용자

      경영자, 종업원 등은 내부정보이용자에 해당된다.

 

 

[3] 회계의 정의

      회계란 일반적으로 정보이용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회계는 재무회계, 관리회계, 세무회계, 회계 감사, 정부 비영리기관회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4] 회계의 사회적 역할(기능)

 

(1) 경제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도움을 준다.

      주주 및 채권자는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생산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를 한다.

      경영자는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생산성이 증가되도록 노력을 한다.

 

(2) 수탁책임에 관한 보고를 위한 수단이 된다.

      경영자는 주주 및 투자자들의 자본을 받아(수탁)이용하고 회계정보 및 결과를 보고한다.

 


2. 회계의 분류와 재무회계의 목적

[1] 회계의 분류

구분 재무회계 관리회계
대상 외부정보이용자 내부정보이용자
보고수단 재무제표 특수목적 보고서
작성원칙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특정한 기준 없음
정보의 특성 신뢰성 강조 및 과거 결과에 대한 정보 제공 목적적합성 강조 및 과거 결과와 미래예측에 대한 정보 제공

 

 

[2] 재무회계의 목적

     주주와 채권자 등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업실체의 거래를 인식, 측정 및 기록하여

      재무 제표를 작성하는 목적을 가진다. 재무제표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주석이 있다.

 


3. 회계원칙과 외부감사제도

회계원칙과 외부감사제도는 재무제표의 신뢰성, 비교가능성, 이해가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1]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AAP)

 

(1) 의의

      경제적 사건을 재무제표에 보고하는 방법으로 회계행위의 지침이다.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AAP)는 변화한다.

 

(2) 국제회계기준(IFRS)

  •       유럽연합 : IASB
  •       미국 : FASB

(3) 우리나라의 회계기준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       일반기업회계기준
  •       특수분야회계기준

(4) 기업회계기준 제정권한

       금융위원회는 기업회계기준 제정권한을 가지고 있다.

 

(5) 제정단체

      사단법인 한국회계기준원(회계기준위원회에서 의결)

 

 

[2] 외부감사제도

     직전사업연도 말 자산총액 등이 일정 기준 이상인 주식회사 등은 공인회계사의 외부감사를 받아야 한다. 공인회계사는       자질을 갖춘 독립적인 제3자를 의미하며 적격성 및 독립성을 갖추어야 한다.


* 이 내용은 와우패스 신용분석사 교재를 참고한 것입니다. 이것은 복습을 위해 정리한 것일뿐 교재의 문제풀이를 통해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것이 많으니 대비하시는 분은 해당 도서를 직접 구매하셔서 준비하세요. 

 

* P.S.

이런 기록을 할 때마다 느끼는 건데 깔끔한 기록들은 좋지만, 이렇게 하나 하나 남기는데 너무 시간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 티스토리의 기본 시스템의 표 양식 지정의 한계도(찾아보면 해결 방법도 있겠지만) 조금 거슬리기도 하고..

그래서 가끔씩 시도하고 초반에 남겨두는 것 같다. 대신 그 시간에 눈으로, 입으로 읽으며 시험 대비에 더 집중하곤 한다..

 

생각해보면 투운사도 이미 취득하고 나서도 시간상 못 쓰는 건데 이렇게 적어보면서 복습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도

싶다. 그냥 기분 내려고 적는 것 같기도 하고..

반응형

'금융 〔 IB · M&A ·시사 〕 > 신용분석사 1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재무회계 개념체계  (0) 2023.04.18
Part 1. 기업회계기준  (0) 2023.03.31
신용분석사란?  (0)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