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적하효과(낙수효과), 분수효과, 낙수이론, 분수이론 적하 효과 적하효과 내지는 낙하효과(trickle-down economics)는 쏟아지면 위에서 아래로 적하되는 현상 자체를 말한다. 이 자체로는 정치적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그냥 사실현상일 뿐이다. 자연계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마찬가지로 경제적으로도 찾아볼 수 있다. 상류층에 많은 자본이 쥐어져있으면 이들이 소비하면서 자연 중위층 하류층으로도 그 돈이 흐르게 된다. 분수효과 분수 효과(trickle-up effect)는 몰리면 아래에서 위로 솟구치는 현상 자체를 말한다. 이 자체로는 정치적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그냥 사실현상일 뿐이다. 자연계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마찬가지로 경제적으로도 찾아볼 수 있다. 하류층에 많은 자본이 손에 쥐어져있으면 이들의 소비로 경제가 활성화되고 중위층 상류층이 운영하는.. 더보기
소득주도성장 가계의 임금과 소득을 늘리면 소비도 늘어나 경제성장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을 바탕으로한 경제정책. 이른바 낙수효과 만능론을 비판하고 부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등장한 경제논리. 소득을 사회에 적절히 잘 분배하면, 소비가 늘고 생산이 증가해 다시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논리다. 복지를 지출이 아닌 투자의 관점으로, 가계를 성장의 주체로 본다. 다만 소득주도성장은 지나치게 이론적이라거나, 현실적으로 사업자 입장에서는 임금을 더 많이 줘야하므로 비정규직 일자리 자체를 축소하거나 혹은 사업 운영이 곤란하다는 등의 반발이 종종 일어났으며, 공무원 일자리가 확대되자 더 걸릴 확률이 낮다고 생각한 것인지, 여당야당을 가리지 않고 부패한 일부 정치인들이 아는 지인들을 통해 친인척을 꽃아넣는 등 인사비리 .. 더보기
명목소득과 실질소득 명목소득(Nominal income)은 대상 경제주체의 소득이 발생할 당시의 통화금액으로 측정된 소득. 화폐액면가 그대로의 소득. 한달 근로소득이 500만원이라면 이 금액 500만원이 명목소득. 실질소득(Real income)은 통화가치의 변동을 감안하여 명목소득을 기준시점에 맞춰 조정한 소득. 물가상승률을 고려해본 나의 소득분. 근로소득이 똑같이 500만원일 때, 동일한 물건들을 사는데도 물가가 올라 100만원씩 더 소비하게 된다면 실질소득은 400만원. 명목소득을 기간별 인플레이션율(물가상승률)로 나누어 대략적인 실질 소득을 가늠해볼 수 있다. 연 소득 6000만원을 5%의 물가상승률로 나누어 보면 5714만원이 실질 소득인 것이다. 즉, 55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연봉 인상에 성공했어도 돈이 .. 더보기
기준금리 기준금리(base rate): 국가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국가의 중앙은행(한국: 한국은행)과 각 금융기관 간 환매조건부채권(RP) 매매와 대기성 여수신 등의 자금거래를 할 때 적용되는 기준이 되는 금리. 즉, 중앙은행과 금융기관 또는 금융기관 간 돈을 빌리고 빌려줄 때의 기준이 되는 이자율. 시중 은행을 포함한 금융기관들은 중앙은행에서 발표한 기준금리를 고려하여 금리를 책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중 금리도 상승하게 되고, 기준금리를 낮추면 시중 금리도 떨어지게 된다. 더보기 설명하자면,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시중은행은 RP 매매로 해당 만큼의 이자를 많이 받을 수 있으며, 자금을 꿔올 때에도 마찬가지로 해당 만큼의 이자를 내야한다. 따라서 시중은행이 이것보다 덜 이자를 받으면 굳이 대여를.. 더보기
명목 금리, 실질 금리 명목 금리는 화폐 1단위를 일정 기간 동안 빌리는 대가로 지불한 화폐액으로서 이자를 원금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한다. 은행이 제시하는 저축금리, 주택담보대출금리, CD금리 등 우리가 흔히 눈으로 보는 금리들이 명목금리이다. 실질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피셔(I. Fisher) 효과에 따르면, 명목 금리는 실질 금리와 인플레이션율의 합계로 나타낼 수 있다. 명목금리 = 실질금리 + 예상 인플레이션율 ▼설명 더 보기 더보기 여기에서 예상 인플레이션율은 사람들이 예상하는 인플레이션율로, 실제 인플레이션율과 다를 수 있다. 만일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1년간 자금을 빌려준다고 할 때 실질 금리가 2%이고 예상 인플레이션율이 3%.. 더보기
GDP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여기에는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되어 있다. 명목GDP는 생산액을 당해년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것이다. (물가상승분이 반영됨) - 경상 GDP라고도 불린다. 실질GDP는 생산량에 기준년도의 시장가격을 곱해서 계산한 것이다. (가격 변동은 제거되고 생산량 변동만 반영됨) 더보기
구축효과 구축효과는 정부지출의 증가가 이자율 상승을 초래하여 민간 기업의 투자를 위축시키는 현상 0. 경제의 움직임을 보다 활발히 하고자 하는 국가의 수요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 가운데 하나가 정부지출의 확대 1. 정부지출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자금 수요를 증대시킨다. 2. 정부가 자금을 확보하고자 국채발행을 하게 된다. 3. 국채 공급이 늘어나서 채권가격이 떨어진다. 4. 떨어진 채권가격에 비해 이자율은 올라간다. 5. 이자율이 올라가면 민간 기업의 투자는 줄어든다. 더보기
재정정책 정부가 국가 경제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재정수지를 변동시키는 정책을 말한다 - 경기 확장 국면에서는 재정의 흑자를 유도하여 세율을 높이고 정부 지출을 낮추어 경기의 과열을 억제하고, - 경기 축소 국면에서는 재정의 적자를 유도하여 세율을 낮추고 정부 지출을 늘려 경기의 활성화를 노리는 것이 일반적. 그러나 한편으로 정부가 시장의 흐름에 역행하여 시장을 바꿔내는 것이기 때문에 역풍을 맞을 경우(ex. 국가 내의 자연발생적인 일시 우연변동이 아닌 세계적인 금융위기의 파급력) 재정손실은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커질 수 있다. 즉, 어느 쪽이든 정부가 손실을 감수하고서라도 국가, 국민들이 살아남게 하도록 시장을 조성해나가는 것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