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타 강좌정리 >/한국사 복습

4. 조선시대 조선, 건국 1392 조선, 태조(1392~1398) : 조선 건국, 한양 천도, 경복궁 건설 한양 천도 1394 15C(1401~1500) 조선,태종(1400~1418) : 6조 직계제 실시 호패법, 신문고 제도 실시 사병 혁파 혼일강리역대국도 지도 제작 주자소 설치, 계미자 주조 조선, 세종(1418~1450) : 집현전 설치, 의정부 서사제 실시 영토 확장(4군 6진), 쓰시마섬(대마도) 정벌, 3포 개항, 계해약조 체결 『훈민정음』 창제/반포 (1446) 혼천의 /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제작, 갑인자 주조 『칠정산』, 『농사직설』, 『삼강행실도』 등 편찬 조선, 문종(1450~1452) : 세자시절부터 실무를 닦았으며 측우기 개발에 기여 『동국병감』, 『고려사』, 『고려사절요』, 『대학연의주.. 더보기
3. 고려 시대 10C(901~1000) 고려, 건국 918 고려, 태조(918~943) : 고려 건국, 후삼국 통일 호족 회유책 : 결혼 정책, 사성 정책, 역분전 지급 호족 통제책 : 사심관 제도, 기인 제도 세율을 1/10으로 낮춤, 흑창 설치, 북진 정책 『정계』,『계백료서』, 훈요 10조를 남김 고려, 후삼국통일 936 고려, 광종(949~975) : 노비안검법 실시, 과거제 실시(쌍기) 공복 제정 칭제 건원(연호 '광덕', '준풍' 사용) 고려, 경종(975~981) : 시정전시과 시행 고려, 성종(981~997) : 최승로의 시무 28조 채택 2성 6부의 중앙 관제 마련, 국자감 설립 12목 설치, 지방관 파견, 의창 설치 거란의 제1차 침입 → 강동 6주 획득(서희) 건원중보 발행 서희의 거란과의 외교담판.. 더보기
2. 남북국 시대 7C (601~700) 신라, 신문왕(681~692) : 김흠돌의 난(681) 진압 9주 5소경 체제 완비 관료전 지급(687) 녹읍 폐지(689) 국학 설립 9서당 10정 조직 발해, 고왕(대조영, 698~719) : 지린성 동모산에서 발해 건국(698) 신라와 함께 남북국의 형세를 갖춤 8C (701~800) 신라, 성덕왕(702~737) : 백성에게 정전 지급(722) 발해, 무왕(719~737) : 연호 '인안' 사용 당의 산둥 지방 등주 공격(장문휴) 발해, 문왕(737~793) : 연호 '대흥' 사용 당과 친선 관계 유지, 신라도 개설 3성 6부의 중앙 관제 정비, 천도(중격 현덕부 → 상경 용천부)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고구려 계승 표방 신라, 혜공왕(765~780) : 성덕대왕 신종 완성 .. 더보기
1. 삼국 시대 기원전(B.C) 신라, 혁거세(B.C 69~ A.C. 4) : 사로국 건국 (B.C. 57) 1C (1~100) 고구려, 태조왕(53~146) : 옥저 복속 2C (101~200) 고구려, 고국천왕(179~197) : 행정적 성격의 5부로 개편 왕위 부자 상속 확립 을파소의 건의로 진대법 실시 3C (201~300) 백제, 고이왕(234~286): 6좌평·16관등제 마련 백관의 공복제정 4C (301~400) 고구려, 미천왕(300~331) : 서안평 점령 대방·낙랑군 축출 고구려, 고국원왕(331~371) : 근초고왕의 평양성 공격으로 전사 백제, 근초고왕(346~375): 왕위 부자 상속 확립 고구려의 평양성 공격 중국 남쪽의 동진/일본 규슈 지방과 교류 고흥, 『서기』 편찬 고구려, 소수림왕(37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