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C(901~1000)
고려, 건국 918
고려, 태조(918~943) :
- 고려 건국, 후삼국 통일
- 호족 회유책 : 결혼 정책, 사성 정책, 역분전 지급
- 호족 통제책 : 사심관 제도, 기인 제도
- 세율을 1/10으로 낮춤, 흑창 설치, 북진 정책
- 『정계』,『계백료서』, 훈요 10조를 남김
고려, 후삼국통일 936
고려, 광종(949~975) :
- 노비안검법 실시, 과거제 실시(쌍기)
- 공복 제정
- 칭제 건원(연호 '광덕', '준풍' 사용)
고려, 경종(975~981) :
시정전시과 시행
고려, 성종(981~997) :
- 최승로의 시무 28조 채택
- 2성 6부의 중앙 관제 마련, 국자감 설립
- 12목 설치, 지방관 파견, 의창 설치
- 거란의 제1차 침입 → 강동 6주 획득(서희)
- 건원중보 발행
서희의 거란과의 외교담판 993
고려, 목종(997~1009) :
- 개정 전시과 실시
- 강조의 정변 발생(1009)
11C(1001~1100)
고려, 현종(1009~1031) :
- 경기 / 5도 양계의 지방 통치 제도 확립
- 거란의 제 2차 침입 → 양규 활약
- 거란의 제 3차 침입 → 강감찬 활약(귀주 대첩)
- 초조대장경 조판
귀주 대첩 1019
천리장성 축조 시작 1033
고려, 문종(1046~1083) :
경정 전시과 시행
12C(1101~1200)
고려, 숙종(1095~1105) :
- 삼한통보/해동통보/은병 등 발행
- 윤관의 건의로 별무반 설치(활구)
- 의천이 해동 천태종 창시
고려, 예종(1105~1122) :
- 윤관이 동북 9성 축조
- 관학 진흥책: 국자감에 7재 설치,
- 양현고 설립
금 건국 1115
고려, 인종(1122~1146) :
- 이자겸의 난(1126)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전개(1135)
- 김부식이 『삼국사기』 편찬
고려, 의종(1146~1170)
- 무신 정변 발생(1170)
- 역적 정중부/이의방 등에 의해 폐위
원 간섭 전 13C(1201~1274)
고려, 고종(1213~1259) :
- 몽골의 침입, 강화 천도
- 팔만대장경 조판 시작
고려, 원종(1259~1274) :
개경 환도(1270)
원 간섭기(13세기 후반~14세기 중반)
1274~1374
고려, 충렬왕(1274~1298, 1298~1308) :
- 원이 고려에 정동행성 설치
- 안향이 성리학 소개
- 일연이 『삼국유사』 편찬
고려, 충선왕(1298, 1308~1313) :
- 원에 만권당 설치(충숙왕 때)
고려, 공민왕(1351~1374) :
- 반원 자주 정책(친원 세력 숙청,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쌍성총관부 수복 등)
- 왕권 강화책(정방 폐지, 전민변정도감 설치)
- 홍건적/왜구의 침입
14세기 후반 (1374~ 1400)
고려, 우왕(1374~1388)
- 화통도감 설치(최무선)
- 요동정벌 단행 →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1388)
박위의 쓰시마섬(대마도) 정벌(1389)
고려, 공양왕(1389~1392)
- 과전법 공포(1391)
- 고려 멸망(1392)
1392 조선 건국
반응형
'< 기타 강좌정리 > > 한국사 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조선시대 (0) | 2023.04.02 |
---|---|
2. 남북국 시대 (0) | 2023.04.02 |
1. 삼국 시대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