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IB · M&A ·시사 〕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가, 엑슨모빌 주가 상승과 다시 보는 워렌 버핏의 인터뷰. 유가, 엑슨모빌 주가 상승과 다시 보는 워렌 버핏의 인터뷰. https://www.youtube.com/watch?v=kBXoZWrJcp0 저당시 PetroChina를 팔았는데 인터뷰를 보면 중국 기업을 더 이상 사지 않을려고 한다고 단언을 하죠. 전체 맥락을 보면 중국기업의 88%의 지분은 중국정부 이고 만약 그 기업에 투자한다는 것은 그들이 하려는 일과 사업파트너가 되게 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는 식의 얘기를 앞에서 하는데 미국-중국의 힘 겨루기가 시작된 요즘에 있어서 보면 다시 보이게 됩니다. 또 이후에 옥시덴탈과 계약을 했죠. 유가가 이후 하락세에 들면서 이에 대해서 조롱의 대상이 되었지만, 에너지 전쟁이 치열해지고 심지어 노드스트림 가스관이 러시아에 의해 폭파되고 에너지난이 오자 유가도 옥시덴탈의.. 더보기 투운사 2과목 3편 - 투자분석기법 : 기본적 분석 투자분석기법-(1) 기본적 분석(전체 12문항) Chapter 1: 증권분석 기초 ◈ 가치분석의 목적 ◈ 기본적 분석 [ 기본적 분석 ] ⊃ [ 질적 분석 ] : 경제/산업동향,사업내용,경영진 등 , [ 양적 분석 ] [ 질적 분석 ] ⊃ [ Top-down Approach ] [ Bottom-up Approach ] [ 양적 분석 ] ⊃ [ 재무제표 분석 등 ] ◈ Top down Approach * "경제 ⊃ 산업 ⊃ 기업" 경제분석 > 산업분석 > 기업분석 순. (하향식) 경제 분석 : 어떤 증권( 증권 ⊃ 주식, 채권)에 투자할 것인가? 산업 분석 : 어떤 업종을 선택할 것인가? 기업 분석 : 어떤 종목을 선택할 것인가? ▶ 글로벌매크로(Global Macro)는 탑다운전략으로 운용한다. ◈ Bo.. 더보기 투운사 2과목 2편 - 해외투자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투운사 2과목 1편 - 대안투자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1과목 3편 부동산- 3. 부동산 투자의 이해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적하효과(낙수효과), 분수효과, 낙수이론, 분수이론 적하 효과 적하효과 내지는 낙하효과(trickle-down economics)는 쏟아지면 위에서 아래로 적하되는 현상 자체를 말한다. 이 자체로는 정치적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그냥 사실현상일 뿐이다. 자연계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마찬가지로 경제적으로도 찾아볼 수 있다. 상류층에 많은 자본이 쥐어져있으면 이들이 소비하면서 자연 중위층 하류층으로도 그 돈이 흐르게 된다. 분수효과 분수 효과(trickle-up effect)는 몰리면 아래에서 위로 솟구치는 현상 자체를 말한다. 이 자체로는 정치적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그냥 사실현상일 뿐이다. 자연계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마찬가지로 경제적으로도 찾아볼 수 있다. 하류층에 많은 자본이 손에 쥐어져있으면 이들의 소비로 경제가 활성화되고 중위층 상류층이 운영하는.. 더보기 소득주도성장 가계의 임금과 소득을 늘리면 소비도 늘어나 경제성장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을 바탕으로한 경제정책. 이른바 낙수효과 만능론을 비판하고 부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등장한 경제논리. 소득을 사회에 적절히 잘 분배하면, 소비가 늘고 생산이 증가해 다시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논리다. 복지를 지출이 아닌 투자의 관점으로, 가계를 성장의 주체로 본다. 다만 소득주도성장은 지나치게 이론적이라거나, 현실적으로 사업자 입장에서는 임금을 더 많이 줘야하므로 비정규직 일자리 자체를 축소하거나 혹은 사업 운영이 곤란하다는 등의 반발이 종종 일어났으며, 공무원 일자리가 확대되자 더 걸릴 확률이 낮다고 생각한 것인지, 여당야당을 가리지 않고 부패한 일부 정치인들이 아는 지인들을 통해 친인척을 꽃아넣는 등 인사비리 .. 더보기 명목소득과 실질소득 명목소득(Nominal income)은 대상 경제주체의 소득이 발생할 당시의 통화금액으로 측정된 소득. 화폐액면가 그대로의 소득. 한달 근로소득이 500만원이라면 이 금액 500만원이 명목소득. 실질소득(Real income)은 통화가치의 변동을 감안하여 명목소득을 기준시점에 맞춰 조정한 소득. 물가상승률을 고려해본 나의 소득분. 근로소득이 똑같이 500만원일 때, 동일한 물건들을 사는데도 물가가 올라 100만원씩 더 소비하게 된다면 실질소득은 400만원. 명목소득을 기간별 인플레이션율(물가상승률)로 나누어 대략적인 실질 소득을 가늠해볼 수 있다. 연 소득 6000만원을 5%의 물가상승률로 나누어 보면 5714만원이 실질 소득인 것이다. 즉, 55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연봉 인상에 성공했어도 돈이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