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IB · M&A ·시사 〕/금융상식

명목 금리, 실질 금리

명목 금리는 화폐 1단위를 일정 기간 동안 빌리는 대가로 지불한 화폐액으로서 이자를 원금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한다.

은행이 제시하는 저축금리, 주택담보대출금리, CD금리 등 우리가 흔히 눈으로 보는 금리들이 명목금리이다.

 

실질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낸다.

 

 피셔(I. Fisher) 효과에 따르면, 명목 금리는 실질 금리와 인플레이션율의 합계로 나타낼 수 있다.

명목금리 = 실질금리 + 예상 인플레이션율

 

▼설명 더 보기

더보기

여기에서 예상 인플레이션율은 사람들이 예상하는 인플레이션율로, 실제 인플레이션율과 다를 수 있다.

 

만일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1년간 자금을 빌려준다고 할 때 실질 금리가 2%이고 예상 인플레이션율이 3%라면 명목 금리를 5%로 계약이 이루어진다.

 

계약 후, 1년 후에 인플레이션율이 예상치보다 낮은 2%에 머물게 되면 실질 금리는 3%가 되어 대출자(돈을 빌려준 자, 저당권자, 채권자)는 이득을 얻고 차입자(돈을 빌린자, 저당권설정자, 피저당권자, 채무자)는 손해를 보게 된다.

 

            채권자 : 인플레이션을 제외 원금 대비 이자가 2%였는데 3%로 늘어난 셈이므로 원금 대비 돈을 더 받는 셈

            채무자 : 인플레이션을 제외 원금 대비 이자가 2%였는데 3% 더 내야하는 셈.

 

 

인플레이션율이 예상치보다 높은 4%로 상승하게 되면 실질 금리는 1%가 되어 대출자는 손해를 보고 차입자는 이득을 얻게 된다.

            채권자 : 인플레이션을 제외 원금 대비 이자가 2%였는데 1%로 줄어든 셈이므로 원금 대비 돈을 더 받는 셈                          채무자 : 인플레이션을 제외 원금 대비 이자가 2%였는데 1% 덜 내도 되는 셈.

 

반응형

'금융 〔 IB · M&A ·시사 〕 >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목소득과 실질소득  (0) 2022.08.21
기준금리  (0) 2022.08.19
GDP  (0) 2022.08.19
구축효과  (0) 2022.08.19
재정정책  (0) 2022.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