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IB · M&A ·시사 〕/신용분석사 2부

비율분석 - 4. 종합적 분석



[ 제4절 ] 종합적 분석


여기서는 앞에서 논의된 비율들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분석하는 방법들과 해당 비율들 간의 연관성 등에 대해 다룸

 

[1] ROI(총자본순이익률)

(1) 의의

    ① 투하된 총자본(총자산)에 대한 순이익의 비율

    ② 미국의 듀퐁사가 1930년대에 개발하여 듀퐁시스템으로도 불리며 ROI의 결정요소들인

         여러 재무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재무계획 수립과 통제에 활용하는 기법

    ③ ROI는 재무상태표상 자산, 부채 및 자본항목과 손익계산서상 수익, 비용 항목이 결합된 비율이며,

        기업의 경영 상태를 전체적인 입장에서 분석하고 경영목표를 수립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

 

(2) ROI 분석의 활용

    ① 기업 ROI를 산업 ROI와 비교하여 기업의 강점 및 약점을 파악하여 경영전략에 이용

    ② 기업 ROI와 목표 ROI를 비교하여 목표달성 여부를 판단할 때 이용

 

(3) ROI 분석의 유용성과 주의점

    ① ROI는 매출수익성과 총자산활동성에 대한 동시적인 분석임

    ② ROI는 경영자나 종업원의 업적평가와 통제에 있어서 다른 의미로 정의된 수익률보다 효과적임

    ③ ROI는 관리자나 종업원들에게 해당 부서의 업무와 기업목표 간의 관계를 인식시키고 구체적인 관리목표를

         제시하여 각 부문의 활동을 기업목표와 직결되도록 하는 데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음

    ④ ROI 도표는 총자산순이익률과 모든 재무요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어 재무관련 지식이

        없는 인원들도 ROI 도표를 이용하여 쉽게 기업의 경영 상태를 이해할 수 있음

    ⑤ ROI는 총자산순이익률의 증가를 목표로 하므로 총자산영업이익률이 이자율을 초과할 때 레비리지효과

         (이익확대효과)를 얻기 위해 부채(타인자본)를 과도하게 조달하도록 유인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비   율 산   식 비   고
총자본순이익률
(ROI)
순이익 / 총자산 (순이익/매출액) x (매출액/총자산)
= 매출액순이익률 x 총자산회전율
= 매출마진 x 회전속도

(4) ROE 분석으로의 확장

    ROI 기법은 주주에게 귀속되는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을 기준으로 한 평가에까지 연장되어 활용될 수 있음

 

[2] ROE(자기자본순이익률)

(1) 의의

    ①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주주에게 귀속되는 이익률을 측정함

    ② ROE는 재무통제 및 종합적인 재무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지표로 ROI와

         부채사용에 따른 재무레버리지 효과까지 분석할 수 있는 지표

 

(2) ROI와의 관계

    ① 부채비율이 클 수록 ROI보다 확대됨

    ② 기업이 부채를 사용하면 ROI가 양(+)의 값을 가질 경우에 ROE는 더 큰 양(+)의 값을 가지며,

         ROI가 음(-)의 값을 가질 경우에 ROE는 더 큰 음(-)의 값을 가짐

비   율 산   식 비   고
자기자본이익률
(ROE)
순이익 / 자기자본 (순이익/매출액) x (매출액/총자본) x (총자본/자기자본)
= 매출액순이익률 x 총자본(총자산)회전율 x (1+부채비율)
= ROI x (1 + 부채비율)

 

반응형